목회 돌봄을 위한 창조 영성적 인간이해 논문개요 인간은 인간과의 관계 뿐 아니라 자연과의 관계 속에 살아간다. 하지만 오늘날 인간의 모습은 생태계의 위기 속에 극심한 불안을 담고 있다. 문제는 인간이 문제 제공자이며 동시에 피해자라는 것이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목회상담은 인간을 돌보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자연.. paper 2013.07.02
동양의 자연관을 통한 현대인의 정체성 회복 연구 p7 한나라 시대 유안여가 쓴 회남자 구절에서는 무위의 자연관을 다음과 같이 인용한다. " 무위는 아무 일도 하지 않으면서 침묵을 지키는 것을 뜻하지는 않는다. 모든 것을 그것잉 자연스럽게 하는 바대로 허용해주라. 그러면 그 본성은 충족될 것이다. 무위란 인간을 비롯한 만물의 본성.. paper 2013.07.01
도덕교육에 있어 불교 수행법의 활용방안 연구 p7 관심과 흥미를 끄는 것은 ‘dhyana'를 굳이 중국인들이 왜 ’禪‘이라는 문자로 번역했을까 하는 것이다.바로 선이라는 한자어에는 그냥 스쳐 지나칠 수 없는 중요한 의미를 발견할 수 있다.’禪‘이라는 한자어는 『설문해자』에 의하면 원래 “하늘에 제사하는 것”이라는 뜻과 “땅.. paper 2013.06.30
대 바실리오 공동체와 수도승 전통 p3 복음을 살아가는 그리스도이 모임이었다. 세상 안에서 세상과 함께 호흡하는 교회의 모습이었다. 서로간의 특권과 천대가 배제된 사랑의 공동체였으며, 사회와 교회 안에서 친교를 구체화 하는 공동체였다. 나눔과 복음의 가치를 살아감으로써 상호존중과 인격적 나눔이 사회 안으로 .. paper 2013.06.28
노자 철학의 기본 이해 노자 철학의 기본 이해 p1 失道의 현실을 치유하기 위해, 老子가 먼저 제시한 것은 修養工夫로서, 有爲의 원인이 되는 小知와 多欲을 나날이 ‘덜어내는’(損) 과정이다. 이러한 損공부의 결과로 인간의 마음이 ‘청정한 빈 마음’(虛靜) 상태에 이르게 되면, 비로소 ‘본래의 참된 생명력.. paper 2013.06.27
통합요가의 길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먼저 부르심(Call)이 있어야만 한다.Auronindo종교사상과 수행법 고찰 p32 금계, 권계를 입문 단계라고 하는데 금계는 그 구성요소가 5가지로 되어 있다. 『요가수트라』2-30. ‘남을 해치지 말라’, ‘거짓말하지 말라’, ‘도둑질하지 말라’, ‘(성적인 욕망을) 절제하라’, ‘탐내지 말라’는 다섯 가지 규율이 금계이다. 42) 금계는 타인에게 피해를 입히는 .. paper 2013.06.26